배당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에 하나의 종목을 편입시킬 때도 신중해야 합니다. 아무리 우량한 배당주라 하더라도 높은 가격에 매수한다면 배당률은 그만큼 떨어지고, 내 포트폴리오 배당률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종목이라도 매도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장기적으로 보유할 종목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좋은 종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좋은 배당주를 선택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표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살펴볼 지표는
1. 배당성향
2. 배당성장
3. 거래배수
이 세가지 입니다.
기본적으로 배당률은 구하기 쉬울 뿐더러, 투자자마다 목표로 하는 배당률이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본인만의 기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 배당성향 (Payout Ratio)
배당주를 선택할 때 배당성향은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배당성향은 해당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 대비 투자자들에게 지급하고 있는 배당의 비율입니다. (당기순이익 : 기업이 벌어들인 매출에서 그 매출을 내는데 들어간 비용을 차감한 금액)
예를 들어 배당성향이 50%인 기업이라면,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의 50%를 배당으로 지급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배당성향은 60~70% 사이로, 배당성향이 이 이상으로 넘어간다면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의 대부분을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배당삭감의 리스크가 어느정도 존재합니다.
*리츠의 배당성향
주의할 점은 리츠 종목의 배당 성향이 일반적인 기업들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세금혜택을 받기 위해 이익의 90% 이상을 주주들에게 배당해야 하는 특징 외에도, 건물의 감가상각비가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사실 건물의 가치는 중장기적으로 오르면 올랐지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리츠의 경우 가지고 있는 자산에 건물이 상당히 높은 비율로 포함되어 있고, 건물의 감가상각비를 당기순이익에서 차감하기 때문에 배당성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100억의 가치를 가진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리츠는 매년 10억 씩 10년 동안 해당 건물에 대한 감가상각비가 당기순이익에서 차감됩니다.
이러한 계산 방식 때문에 리츠는 배당성향이 100%를 훌쩍 넘어 200~300%까지 나오는 기업들도 종종 발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츠의 배당성향을 구할 때는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FFO(Funds From Operation)를 이용해야 하는데, 계산식은 Div Rate / FFO이며, 시킹알파 닷컴의 Summary page 탭에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배당성장 (Dividend Growth)
시간이 지날수록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현금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리가 받는 배당금은 매년 늘어날 필요가 있습니다.
배당성장이 없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임금인상이 없는 회사에 다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현금흐름이 악화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배당성장이 준수한 기업에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배당성장을 확인하는 방법은 연도별로 지급된 배당금의 상승폭을 계산하면 됩니다.
다음은 펩시코(PEP)의 지난 10년간의 배당 내역입니다. 2022년에서 2023년의 배당성장을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4.92-4.53) / 4.53 x 100%
다음 식을 활용하여 구할 수 있는 펩시코(PEP)의 2023년 배당성장은 약 8.6% 입니다.
즉, 해당 기업에 투자한 투자자는 2023년 8.6%의 임금인상 효과를 누린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거래배수
거래배수란 해당 기업이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배당 투자를 할 때 너무 비싸게 사지 않는 것, 즉 배당수익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거래배수를 통해 해당 기업이 과거와 비교하여 너무 비싸게 거래되는 것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배수를 확인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최근 10년 동안, 그리고 동일 업종의 EV/EBIT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해당 지표는 기업가치(EV)를 영업이익(EBIT)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의 가치가 실제 발생하는 영업이익의 몇 배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EV/EBIT이 높을 수록 비싸게 거래된다는 의미입니다.
각 지표를 확인하는 방법
Stockrow 사이트에서 오늘 살펴본 지표인 배당성향 / 배당성장 / 거래배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배당성향
Stockrow 사이트에서
원하는 종목의 티커 입력 후
왼쪽 하단의 Dividends에서
Payout Ratio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배당성장
배당성향을 확인한 Dividends 탭에서
바로 아래에 지난 배당지급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데,
해당 자료를 바탕으로 앞서 언급한 식을 통해
배당성장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3) 거래배수
원하는 종목 검색 후 상단 메뉴에서
Metrics & Ratio를 선택,
해당 메뉴에서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면
EV/EBIT을 연도별 / 분기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